본문 바로가기
우리의 모든 일상생활

성인 혈압,맥박,호흡,체온 정상범위, 측정법

by 즐거운둘리 2021. 12. 29.
728x90

 

안녕하세요 위켄즈토리의 둘리입니다.

의학 드라마가 꾸준히 나오면서 많은분들이 Vital sign 이라는 단어를 많이 들어보셨을거에요.

하지만 정확히 무슨 뜻인지는 잘 모르셨을텐데요. vital sign  혈압,맥박,호흡,체온의 수치를 측정한 데이터 입니다.

전반적인 신체 컨디션을 확인하는데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오늘은 vital sign의 의미하는 것이 정확히 무엇이고 정상 범위와 측정법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vital sign이란?

건강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는 중요한 측정치입니다. vital sign에는 혈압,맥박,호흡,체온이 있고 이는 연령이나 성별, 체중, 운동 능력 등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 따라서 수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우리 몸의 세포들은 항상성 유지를 위해 환경이 변하더라도 정상범위 내의 활력징후를 유지합니다. 그러다 몸에 문제가 생기면 이 활력징후가 항상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수치에 변화가 생깁니다.

의료진들은 이 수치들을 통해 환자의 기본적인 상태와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혈압(blood pressure)

'동맥혈관 벽에 부딪히는 혈액의 압력' 입니다. 혈압은 수축기압과 이완기압을 mmHg 단위로 표기합니다. 심장 수축의 힘과 횟수는 조절 할 수 없는 자율신경계의 지배를 받으며 혈액량, 심장의 수축능력, 말초혈관의 저항 등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은 4가지로 수은혈압계, 아네로이드 혈압계, 자동전자혈압계, 24시간 혈압감시기가 있습니다.

보통 많이 사용되는 자동전자혈압계의 사용법에 대해서만 알아보겠습니다.

자동혈압계 : 편안히 앉은 자세에서 5분이상 휴식을 취한 뒤 커프의 위치는 심장과 같은 높이로 손가락 1~2개정도 들어갈 여유를 준 뒤 혈압을 측정합니다. 이때 송기호스는 팔의 중심으로 오도록 놓습니다.

 

아래는 혈압의 정상범위와 고혈압, 저혈압을 나타낸 수치입니다.

혈압 정상범위 120/80mmHg
고혈압  140/90mmHg 이상
저혈압 90/60mmHg 이하

 

 

맥박(heart rate) 

심장 수축에 따른 혈액의 파동으로 심장이 일분에 몇 번 뛰는지를 수치로 나타내는 것 입니다.

맥박은 환경의 영향, 심리적 요인, 격한 운동 등으로 인해 수치가 크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편안한 환경과 안정적인 심리상태에서 측정해야 합니다.

성인의 맥박 정상 수치는 60~100회/min 이고 정상 맥박은 일정한 강도와 규칙적인 리듬입니다.

정상 맥박이 아닌 경우 부정맥, 빈맥, 서맥으로 나뉘어지는데 부정맥이란 맥박 자체가 불규칙한 것을 의미하고 빈맥은 1분에 100회 이상, 서맥은 1분에 60회 미만을 의미합니다.

 

정상 맥박 60~100회/min 
빈맥  100회 이상/min
서맥  60회 이하/min
부정맥 불규칙한 맥박 (가슴 두근거림, 어지러움, 호흡곤란, 흉통, 피로감 실신 등 증상 발생할 수 있음.)

 

 

맥박 측정법은?

①맥박을 측정할 시에는 오른 손 두번째와 세 번째, 네 번째 손가락의 지문이 있는 부위로 왼쪽 손목부위(요골동맥)에 가볍게 대고 맥박수를 측정합니다

②초침이 있는 시계로 1분간 측정합니다. (맥박이 일정하다면 15초x4, 30초x2 방법을 써도 됩니다.)

③맥박의 규칙성, 횟수, 빠지는 맥박은 없는지 확인합니다.

 

호흡(respiration rate)

호흡은 산소를 들이마시는 흡기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호기로 이루어집니다. 흡기화 호기를 각 한번씩 한 것을 1회로 측정하며 호흡수를 잴 때에는 환자가 알지 못하게 잽니다. 그 이유는 환자가 호흡을 임의로 길게하거나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호흡도 맥박과 마찬가지로 환경의 영향, 심리적 요인, 격한 운동 등으로 수치가 달라질 수 있으니 안정적인 상황에서 측정합니다.

호흡은 정상호흡, 빈호흡, 서호흡, 과호흡이 있는데 성인의 정상 호흡은 분당 12~20회이며 호흡의 깊이와 간격이 일정합니다. 빈호흡은 1분에 24회 이상, 서호흡은 1분에 10회 이하, 과호흡은 1분에 30회 이상 호흡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필요한 것보다 빠르고 싶게 호흡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자발적으로 발생하거나 공포나 흥분의 결과, 또는 결과 상태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상호흡 성인 기준 12~20회/min, 호흡의 간격과 깊이가 일정함
빈호흡 24회 이상/min
서호흡 10회 이하/min
과호흡 30회 이상/min

 

체온(Body Temperature)

체온은 신체 내부의 온도를 말하며 건강 상태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체온은 감염, 외상, 전신 염증성 질환, 약물 부작용, 뇌졸중 등이 발생했을 경우 체온이 정상보다 높을 수 있으며 당뇨병, 갑상선 기능 저하증, 약물 및 알코올 중독, 쇼크 등이 발생했을 때 체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체온은 고막, 구강, 겨드랑이, 직장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이 순서대로 높게 측정된다. 따라서 체온을 잴 때에는 같은 부위에서 측정해야 합니다.

건강한 성인의 정상체온은 고막으로 측정했을 경우 36.5도에서 약 ±1도 라고 볼 수 있다. (35.5~37.5)

그 이하로 떨어졌을 경우 저체온, 이상으로 올라가는 경우 고체온이 됩니다.

체온을 측정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고막 체온: 가장 빠르고 간편한 방법으로 고막 체온계를 성인의 경우 귀를 후상방으로 소아는 후하방으로 살짝 당긴 후 체온계를 밀어 넣어 측정합니다. (35.7~37.5)

 

구강 체온: 체온계 끝 부분을 혀밑에 두고 3분정도 기다립니다. (전자 체온계일 경우 '삐' 소리가 날 때까지 기다립니다.) 보통 만5세 미만인 아이들은 혀 밑에 오래 물고 있기 어려우므로 구강체온은 하지 않습니다. (35.7~37.4)

 

겨드랑이 체온: 체온계 끝부분을 겨드랑이 한가운데 갖다 댄 후 체온계가 빠지지 않도록 팔과 몸을 밀착합니다.8~10분정도 기다린 후 체온을 측정합니다 (전자 체온계일 경우 '삐' 소리가 날 때까지 기다립니다.) (35.0~36.9)

 

직장 체온: 체온계 끝에 바셀린을 바른 후 옆으로 누워 성인은 약 2.5~4cm, 아동은 1.5~2.5cm 정도 체온계를 삽입 후 3분정도 기다립니다.(전자 체온계일 경우 '삐' 소리가 날 때까지 기다립니다.)(36.3~37.7)

 

 

오늘은 vital sign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vital sign이란 혈압, 맥박, 호흡, 체온을 측정한 값이며 우리의 건강상태를 알려주는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모두 vital sign 의 정상범위를 숙지하시고 한번씩 본인의 vital sign을 측정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혹시나 본인의 수치가 정상범위가 아닐 경우 재측정은 하시고, 계속 수치가 비정상이라면 빠른 시간내에 병원을 방문하시길 바랍니다.

 

 

 

 

 

 

728x90

댓글